공식아카운트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11/진재환

수면에서는 물안개가 떠오르고 모래불에서는 매캐한 먼지가 일었다. 고요하던 대동강은 처절썩처절썩 절벽을 때리며 노호한다. 물결이 태동친다. 날이 밝았다.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8/진재환

인간은 강류역에서 살기 마련이다. 대성이가 조바심치는 리유는 다른데 있었다. 어떤 사람들은 손바닥만한 제집 터밭은 금덩이처럼 귀중히 여기면서 산이나 하천같이 귀중한 국토가 넝마처럼…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7/진재환

2   대성의 뒤를 따라가는 준하는 자주 걸음을 멈추고 지팽이를 짚은채 허리를 펴고 먼 상류쪽 앞길과 사위를 살펴보다가는 다시 걸음을 떼군하였다. 혹시 무엇인가 귀중한것이…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6/진재환

두사람사이에는 열다섯해동안의 우정과 친밀한 사이가 일시에 회복되는듯싶었다.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5/진재환

《그림의 떡같은 소리요. 그러나 안될것이요!》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4/진재환

양어장의 어못을 건설할 때 처음으로 다투었다. 준하는 과학기술상 어못의 뚝에 나무를 심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고 대성이는 짐짓 뚝에 바자 치듯 나무를 옮겨심었다.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3/진재환

이러한 생각에 사로잡혔던 그는 어서 빨리 가던길을 가야 되겠다는 조바심이 일어났다. 반시라도 자기의 발걸음이 지체된다면 그만큼 강의 원망을 더 받을것이니 안될 일이다!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2/진재환

등산모의 말투는 확실히 도전적이였으나 농립모는 처음이 아니라는듯 개의치 않는 모양이였다. 농립모는 옹친 배낭끈의 매듭을 손톱으로 풀고있을뿐 기색도 고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