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아카운트

조선로동당창건 70돐경축 열병식 및 평양시군중시위에서 하신 김정은원수님의 연설

조선중앙통신에 의하면 김정은원수님께서 10일에 진행된 조선로동당창건 70돐경축 열병식 및 평양시 군중시위에서 력사적인 연설을 하시였다. 연설전문은 다음과 같다. 영용한 조선인민군 …

군사정권으로부터 받은 면죄부

《한일회담》은 1951년부터 65년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기까지 14년간 7차에 걸쳐 진행되였다.  51년 10월 20일 도꾜 련합군최고사령부(SCAP)에서 외교국장 시볼트의 립…

남북학생회담과 통일의 열기

4.19 이후 남조선에서는 학생,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중립화통일론》이 확산되여갔다. 쏘미랭전에서 벗어나 조선반도를 영생중립화하는 방식으로 통일하자는 주장이다.  리승만퇴진후 과도…

《56년 귀국자》와 오무라수용소

제1차 귀국선이 니이기따따를 출항하기 전에 조선민주주의공화국에 귀국한 재일조선인들이 있었다. 1955년 9월 총련은 일본정부 및 일본적십자사와의 첫 공식접촉에서 재일조선인귀국문제에…

《큐포라가 있는 동네》의 풍경

재일조선인의 귀국사업에 대한 일본국민의 반향은 대체로 호의적이였다. 신문, 방송도 귀국사업을 인도적인 사업으로 취급하고 보도하였다. 1962년에 공개된 영화 《큐포라가 있는 동네》…

중일수교와 북남등거리정책

1972년 9월 29일 일본은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하였다. 일본은 일화평화조약(1952)체결이래 중국국민정부(대만)와 국교를 맺고있었으나 주은래수상과 다나까 가꾸에이수상이 …

전전이 없이 중단된 국교정상화회담

조일국교정상화회담은 1991년부터 2002년 10월까지 12번에 걸쳐 진행되였다. 일본의 과거청산문제와 관련하여 조선측은 1차 회담에서 일본국 및 정부최고책임자의 공식사죄를 요구하…

새 질서에 관한 구상과 목표

조일쌍방은 평양선언에서 《동북아시아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강화하기 위하여 호상 협력해나갈것을 확인》하였다. (4항) 조선은 자주의 원칙에 기초한 외교로선을 견지하여왔으나 대미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