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급부 3학년 | 1등 | 《나의 금메달》 리순홍(오사까제4초급) | 
| 2등 | 《〈느끼게 한다〉는 뜻》 송지사(오사까제4초급) | 
| 3등 | 《벼의 일생을 가르쳐줄래요》 김리란(호꾸리꾸초중) | 
| 《난 축구선수가 될래요》 리기황(사이따마초중) | 
| 가작 | 《우리 3학년은 화목한 대가정!》 최소아(히로시마초중고) | 
| 《〈작은 아빠〉가 될거야》 정태영(사이따마초중) | 
| 장려상 | 《봉선화관찰일기》 김서나(가와사끼초급) | 
| 《바이올린》 배마유(요꼬하마초급) | 
| 《으뜸이야!》 신향직(세이방초중) | 
| 초급부 4학년 | 1등 | 《나의 〈좋은 경쟁자〉》 림아의(남부초급) | 
| 2등 | 《자유연구 〈물〉》 김리관(남부초급) | 
| 《형님 고맙습니다》 최연무(도꾜제9초급) | 
| 3등 | 《어머니의 고마움》 리소나(남부초급) | 
| 《사랑하는 외할머니》 김혜연(니시도꾜제1초중) | 
| 《즐거운 도공시간》 조황성(도꾜제1초중) | 
| 가작 | 《문지기》 박장영(남부초급) | 
| 장려상 | 《여러가지 명언》 권미희(도꾜제6초급) | 
| 《나의 아버지》 홍미리(도꾜제1초중) | 
| 《신보의 사진》 홍지극(도꾜제6초급) | 
| 초급부 5학년 | 1등 | 《아침에 있은 일》 김희영(요꼬하마초급) | 
| 2등 | 《우리 동무가 제일》 김희령(가와사끼초급) | 
| 《사랑에는 사랑으로》 로명심(이바라기초중고) | 
| 3등 | 《나는 육성팀의 주장》 허장수(이꾸노초급) | 
| 《기어코 성공시킬테야》 로유나(세이방초중) | 
| 가작 | 《티끌모아 태산 -할배와의 2인3각-》 김상태(지바초중) | 
| 《기쁨의 킥오프》 리진룡(야마구찌초중) | 
| 장려상 | 《오빠의 빨간 티샤쯔》 조소화(도꾜제6초급) | 
| 《우리들의 카레는 제일이야!》 박사나(도꾜제6초급) | 
| 《나의 남동생은 우리 유치원생》 윤영선(가와사끼초급) | 
| 초급부 6학년 | 1등 | 《추억 깃든 노래》 우애나(남부초급) | 
| 2등 | 《자유연구 〈나〉》 강애향(남부초급) | 
| 3등 | 《자신을 가지고》 김가린(도꾜제3초급) | 
| 《동생들에게》 김상태(도꾜제2초급) | 
| 가작 | 《학교의 새와 우리 집 새》 류선주(도꾜제2초급) | 
| 《귀중한 체험》 리미성(요꼬하마초급) | 
| 장려상 | 《특등석》 림수량(도꾜제6초급) | 
| 《나의 이름》 권경안(니시도꾜제2초급) | 
| 《웃음가득》 김영리(도꾜제6초급) | 
| 중급부 1학년 | 1등 | 《새 롱구소조》 류리영(지바초중) | 
| 2등 | 《진정한 배움터》 성경미(군마초중) | 
| 3등 | 《대성공의 기쁨》 채윤수(도호꾸초중) | 
| 《우리 녀동생》 지귀현(아마가사끼초중) | 
| 가작 | 《연필대전쟁》 리사영(시즈오까초중) | 
| 《나는 조선사람》 추미야(기다오사까초중) | 
| 《우리 함께》 현수향(도꾜제1초중) | 
| 중급부 2학년 | 1등 | 《우리의 교사》 서강실(도호꾸초중) | 
| 2등 | 《승기》 문양선(도꾜중고) | 
| 3등 | 《내 마음속의 공화국기》 최혜선(니시도꾜제1초중) | 
| 가작 | 《바꾸지 못하는 력사, 내가 새겨가는 력사》 신령슬(와까야마초중) | 
| 《혼자》 리미영(시즈오까초중) | 
| 《전해야 할 말은 지금》 리아미(히로시마초중고) | 
| 중급부 3학년 | 1등 | 《나도 될거야》 리민영(히로시마초중고) | 
| 2등 | 《할아버지의 마음》 김조애(도꾜제1초중) | 
| 《할머니란 〈책〉》 허예나(시고꾸초중) | 
| 3등 | 《가장 귀중한것》 김가야(도꾜제1초중) | 
| 가작 | 《어머니》 리귀옥(교또중고) | 
| 《다시 만나면 꼭 말해줄거야》 신아야(교또중고) | 
| 장려상 | 《지금 할수 있는 일》 문가련(사이따마초중) | 
| 고급부 | 1등 | 《얼》 최혜영(도꾜중고) | 
| 2등 | 《조선사람의 징표》 박지미(가나가와중고) | 
| 3등 | 《한걸음》 량영심(도꾜중고) | 
| 가작 | 《숙제》 정휘윤(도꾜중고) | 
| 《흰색보다 하얀 흰색》 하세혁(고베조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