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번영에 대한 기대와 확신 / 10.4선언발표 5돐,평양의 여론
2012년 10월 05일 15:48 북남・통일 주요뉴스【평양발 김지영기자】 10.4선언(북남관계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발표 5돐을 맞이한 날, 평양에서는 경축행사는 열리지 않았다. 통일부문관계자들과 시민들은 온 민족이 힘을 합쳐 반통일세력의 대결책동을 짓부신 다음에 열리게 될 평화번영의 새 국면에 대한 기대와 확신을 말하고있었다.
5년간의 교훈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는 올해 1월 평양에서 총회를 가지고 6.15와 10.4선언발표기념일을 맞으며 북과 남, 해외동포들이 함께 모여 민족공동의 통일행사를 개최할것을 제의한바 있다.
리명박정권은 민족공동행사를 끝내 무산시켰다. 북남사이에는 현 대결상태를 해소할수 있는 길이 꽉 막혔다. 민족을 배반하고 외세에 아부하는 사대매국정권, 무모한 호전세력의 군사도발에 대처하여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은 《전면적반공격전》의 계획을 검토하고 최종수표하였다. 어느 통일부문관계자는 전군, 전민이 《만단의 전투태세》를 갖추고있는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언급하고 《북남선언들을 존중하고 리행하면 평화가 오지만 선언들을 부정하면 무력충돌, 전쟁재발의 위기밖에 일어날것이 없다는것이 지난 5년간의 교훈》이라고 말하였다.
6.15공동선언의 실천강령으로 일러지는 10.4선언의 채택은 북의 통일부문관계자들에게 조국의 자주적평화통일은 멀지 않았다는 신심과 환희를 안겨주었다. 지금도 10.4선언의 3항(군사적적대관계의 종식, 긴장완화와 평화보장을 위한 협력)과 4항(종전선언을 위한 3자 또는 4자수뇌회담), 5항(《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설치를 비롯한 경제협력사업)에 명기된 내용들이 리행되였더라면 2010년 10월의 연평도포격전과 같은 사태가 일어나지 않았을것이라고 말하는 관계자들은 적지 않다.
《선거》를 주목
오는 12월 남조선에서 대통령선거가 실시된다. 평양시민들의 관심도 높다. 이번 선거가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을 리행하여 현 북남관계의 파국적사태를 해결할수 있게 하는 하나의 계기로 될수 있기때문이다.
10.4선언발표 5돐에 즈음하여 발표된 조선중앙통신사 상보는 《리명박보수패당은 (5년간의) 반민족적, 반통일적행적으로 하여 민족안에 더이상 설자리가 없어진 가련한 처지》로 굴러떨어졌다고 단정하였다. 그리고 남조선 대통령선거에서 누가 당선되더라도 《현재의 대북강경책은 없어질것으로 보인다.》(《월 스트리트 져널》) 는 외국언론의 론조를 소개하였다. 신문에 실린 상보의 그 구절은 독자들의 주목을 모았다.
《통일로 향한 발걸음이 수년동안 지체된것은 통탄할 일이 아닐수 없다.》 정세문제를 론할 때면 반드시 《잃어버린 5년》이 화제로 된다. 평양사람들은 북남관계의 파국이 다음 정권에서도 이어지는것을 결코 바라지 않는다.
《(남조선)진보세력의 단결로 재집권의 야망을 실현해보려고 획책하는 보수패당에게 참패의 쓴맛을 안겨야 한다.》는 10월 4일부 《로동신문》 사설의 그 구절은 북의 민심을 그대로 대변한것이다.
4.15연설인용
지금 북의 통일부문관계자들은 앞으로의 북남관계에 대하여 말할 때 최고령도자의 4.15열병식연설을 인용한다. 진정으로 나라의 통일을 원하고 민족의 평화번영을 바라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손잡고 나갈것이며 조국통일의 력사적위업을 실현하기 위하여 책임적이고도 인내성있는 노력을 기울이려는 《우리의 립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이들은 말한다.
북의 정부와 인민은 6월 15일과 더불어 10월 4일을 소중히 간직하고있다. 이날에 발표된 선언이야말로 6.15의 정신에 기초하여 북남관계발전과 조국통일, 민족의 평화번영을 위한 방도들을 포괄적으로 밝힌 행동의 지침이기때문이다.
10.4선언이 발표되여 리명박정권이 들어서기 전까지의 불과 수개월기간에만도 선언리행을 위한 총리회담과 부총리급 경제협력공동위원회 회의를 비롯한 많은 대화와 접촉이 진행되였다. 분야별 합의리행기구도 구성운영되고 수십건에 달하는 협력사업들이 합의되였다.
이미 4.15열병식연설을 통해 북의 변함없는 통일의지가 표명되였다.
대통령선거의 결과에 따라 구성되는 남측의 다음 정권이 북남선언들을 존중하고 리행하려 한다면 북측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을것이며 민족의 평화번영을 위한 실천적인 후속조치들이 끊임없이 취해질것이다.
(조선신보)